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Advanced

1-1. Bandgap reference

_KDE_ 2024. 9. 14. 15:49

0. Intro

안녕하세요 일주일만에 다시 글을 쓰네요. 

 

오늘은 살짝 어려운 내용을 다뤄볼까 합니다.

 

그림1.

Current Mirror에서 살짝 언급했었는데  다시 보겠습니다.

 

왼쪽에 Iref라는 전류원이 있습니다. 이 전류원은 'a.Supply Voltage의 Noise'와 'b.온도에 민감하지 않은' 잘 만들어진 전류원으로 current mirror를 사용해 여기 저기에 bias를 줍니다.

 

이 때 Bandgap reference를 통해 바로 저 Iref를 만드는 것입니다.

 

우선  'a.Supply Voltage 의 Noise'에  민감하지 않게 어떻게 만드는지 idea를 먼저 작성해보겠습니다.

 

1. Supply Independent Biasing

 

그림 1에서 Iref를 전류원 대신 저항 R이 달려있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여기에 흐르는 전류를 M2에서 current mirror로

 

공급하는 것입니다.

 

만약 VDD가 흔들리면 전류의 변화량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ΔI=ΔVDDR+1gm1

VDD의 변화가 전류에 그대로 나타납니다.

 

어떤 회로든 각종 Noise 같은 것들 때문에  VDD가 흔들릴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그 Noise에 의해 전류가 바뀌면 회로가 제대로 동작을 안하게 됩니다.

 

그래서 더욱더 Iref 같은 것이 필요한거구요.

 

어쨌든 VDD로 바로 공급해주는 것은 위험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회로가 제시됩니다.

 

그림2.

그림2와 같은 회로를 self-bias circuit이라고 합니다.

 

M4,M1을 보시면 diode connected 구조로 |Vgs||Vth|보다 크기만 하면 saturation이 됩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면 이상한 점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VDD를 3.3V, 그리고 모든 mosfet의 |Vth|는 0.3V라고 하겠습니다.

 

M1이 turn on(saturation)이 되기 위해서는 M1의 gate전압이 0.3V보다 크기만 하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M4의 gate는 3V보다 작으면 됩니다.

 

여기서 가만히 생각해보면 M1의 gate는 0.4V, 0.5V, 0.6V 등 여러 값이 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전류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에 상응해서 M4의 gate도 3V보다 작은 여러 값을 가지게 되겠죠?

 

즉 저 회로의 흐를 수 있는 전류의 값은 굉장히 많습니다.

 

전류식 Iref=KIout만 만족하게 Vgs가 적절히 선택되면 됩니다.

 

다시 말하면  VDD와 저 Iref에 흐르는 전류는 관계가 없습니다.

 

supply에 independent하게 전류를 만들고 있습니다.

 

그 전류로 biasing이 되었으니 self bias-circuit이라고 부르는 이유도 알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회로로 supply noise에 independent한 전류를 만들 수 있다는 idea는 가져왔습니다. 

 

 

 

 

 

여기서 '전류가 얼마나 흐를지 어떻게 정하지?' 라는 궁금증이 있는데 이는 추후에

 

'온도와 무관'하게 전류만드는 방법을 설명 드린뒤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질문 오류지적 환영합니다!

 

 

'Advanc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Bandgap reference  (0) 2024.09.21